[교수칼럼-나의 연구, 나의 교육] 수소에너지 시대로의 전환
[교수칼럼-나의 연구, 나의 교육] 수소에너지 시대로의 전환
  • 언론출판원
  • 승인 2024.01.02 12: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탄소의 시대는 가고 수소의 시대를 알리며”

  기후 위기 시대,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수소 산업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에 이어 2020년도에는 수소경제육성 및 수소안전관리법 제정, 정책을 총괄하는 수소경제위원회 출범, 수소를 포함하는 그린 뉴딜 5대과제 발표등을 통하여 수소경제 사회로의 진입을 발표하였다.

  주 에너지인 기존의 화석연료에서 벗어난 수소에너지를 우리나라 주력산업에 연계해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을 만들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

  이제 수소경제는 더 이상 실증, 미래가 아닌 실제 생활에 정착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소의 생산 및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은 재생에너지의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하는 그린수소,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에서 수소를 추출하거나, 화학 공업 분야에서 화석연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소를 포집하는 그레이수소가 있다.

  그레이수소는 수소를 만드는 비용이 저렴하지만,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친환경성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궁극적인 친환경 에너지라고 볼 수 없다.

  하지만 아직은 그레이수소가 전체 생산량의 약 96%를 차지하고 있어서 그린수소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당면과제이다.

  수소에너지에 대하여 자주 제기되는 이슈는 수소에너지는 2차 에너지(1차 에너지를 가공 또는 전형하여 이용하기 쉬운 형태로 만든 에너지)이므로 1차 에너지(에너지원 중 천연자원 상태에서 공급되는 에너지) 공급확보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고, 재생에너지, 전기-열에너지를 거쳐야 하므로 에너지 이용 효율이 낮다는 지적이 있다. 그러나 지구 규모의 관점에서는 수소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재생에너지 자원은 거의 무한하게 존재하므로 이러한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앞으로 정부는 국내외 수소경제 시장에 민간 참여율을 높이는 방안을 지속해서 수립하고 기업들은 더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여 전 세계적으로 빨라진 수소경제에 대응하여야 할 것이다. 즉, 수소에너지가 국가 친환경 에너지 정책에 핵심 기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만큼 민·관 협력을 통해 수소경제가 국가산업경쟁력은 물론 환경개선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는 시점이다.

  또한 이제는 탄소중립과 ESG(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시대이다. 기후변화 적극 대응을 위하여 글로벌 규제와 기업경영 활동이 변화되고, 결과적으로 이 두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질서가 재편되고 있다. 화석 발전 비중이 높고 탄소 배출이 많은 제조업이 핵심 산업인 우리나라로서는 탄소중립과 ESG 달성이 어려운 숙제이기도 하다. 하지만 위기를 기회로 삼고 적극적으로 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노력을 통해 탄소중립 모범국가인 대한민국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수소경제는 세계적으로 초기 단계로서 누구도 가보지 않은 새로운 길이기 때문에 누가 선점하느냐가 중요하다. 대한민국이 수소경제의 메카로 도약하기를 기대하며”

김동우(소방방재공학과 조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 (경남대학교)
  • 대표전화 : (055)249-2929, 249-2945
  • 팩스 : 0505-999-2115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은상
  • 명칭 : 경남대학보사
  • 제호 : 경남대학보
  • 발행일 : 1957-03-20
  • 발행인 : 박재규
  • 편집인 : 박재규
  • 경남대학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2024 경남대학보.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