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대학은 올해로 개교 75주년을 맞이하게 되는 뜻깊은 해이다. 반세기가 넘도록 한국의 현대사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14만 동문을 배출해온 지방사학의 명문은 우연히 이뤄진 것이 아니다. 모든 구성원들이 일심 단결하여 열심히 달려온 결과물이다.
우리 대학이 개교 75주년을 맞이하는 2021년 대학가 분위기는 심상치가 않다. 지방거점대학은 물론이고 지방 사립대학들의 신입생 정원 미달 사태가 강타하면서 ‘지방대 소멸’, ‘지방대 위기’, ‘미달 후유증’, ‘지방대 생존 전략’ 등과 같은 표현들이 쏟아져 나왔다. 우리 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대교협의 2021학년도 추가 모집인원 상위 10개 대학 발표에 따르면 우리 대학은 8위(570명)에 랭크돼 있다. 지방대인 우리 대학의 생존 전략과 미래 비전은 어떻게 설계되고 준비해야 할까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앞으로 개교 100주년을 누군가가 공짜로 안겨 주지 않기 때문이다.
위기의 지방대를 살리기 위한 타 대학의 대응책은 어떠한가? 우선 대학의 통합 내지 연합대학 설립의 바람이 일고 있다. 그리고 학제개편을 통하여 수험생들이 선호할 만한 인기 학과를 신설하고 비인기 학과 모집을 중단 결정하는 등 필사적으로 학사 구조를 개편해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한편 지방대 정원 미달 사태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생존을 위한 방법을 모색 중인 우리 대학은 구성원들과의 민주적인 방법으로 학과를 통폐합하거나 학과를 개편하는 중이다. 입시 실패 책임론을 따지고 있을 여유가 없다. 우리는 각종 ‘생존 전략’ 만이 미래를 대비하는 공존의 길임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대 위기는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대학 선호 현상 등이 주된 원인이다. 한국사립대총장협의회는 지금 상태로 가면 지방대고사는 현실이 될 수도 있다는 진단 하에 대학 구조조정과 함께 지역균형발전을 통한 수도권 쏠림현상을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지난 6일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수도권 대학에서 적정 규모의 정원 감축이 필요하다는 방향 아래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위기의 상황에서 맞이하는 개교 75주년이 뜻깊은 해지만 한마가족 모두가 미래를 위한 혁신의 정신과 환골탈태의 각오로 해법을 모색해야 할 절박한 시점에 있다.